많은 연봉을 받는다고 해서 비난받을 이유는 더더욱 없다.
그러나 이런 고연봉 구조가 시민의 세금으로 유지되는준공영제의 산물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얘기가 달라진다.
2000년대 초반 부산 시내버스는 만성 적자와 임금 체불, 빈번한 파업으로 교통.
버스 10여 대가 주차돼 있다.
창원시의회 손태화 의장은 3일 입장문을 통해 “시내버스 파업 종료에 대해 시민.
시내버스 노사가 극적으로 합의를 이뤘다.
지난달 28일부터 시작한 노조 파업은 역대 최장이라는 기록을 남기고 일단락됐다.
준공영제를 도입한 다른 지자체는 파업을 유보하거나 이른 타결로 시민 불편이 없었던 반면 창원은 반복되는 버스 파업 사태에 시민들이 큰.
대한 시민 불편을 성토하는 글들로 도배됐다.
이번 파업으로, 매년 800억 원이 넘는 세금이 투입되는준공영제에 대한 개선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준공영제는 민간 버스업체의 경영을 지자체가 일부 맡아 노선 설정 등에 개입하는 대신 적자를 보전해주는 제도로.
구미 대광로제비앙
시민의 대의기구인 창원시의회에서는 의장을 중심으로준공영제폐지를 검토.
창원시의회 의장이 시내버스 파업이 엿새 만에 종료된 데 대해 "역대 최장기 파업으로 시민들에게 큰 불편과 혼란을 야기한 시내버스준공영제폐지를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손 의장은 3일 입장문에서 "대선을 하루 앞둔 2일 파업이 마무리된 것은 다행.
제주특별자치도는 12, 13일 이틀간 전국 시내버스준공영제운영 광역시도 담당자 100여 명이 참석하는 '시내버스준공영제시행 광역시도 협의회'를 제주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광역시도 협의회는 전국 14개 광역시도가 참여하는 행사로, 시내버스준공영제의.
당장 교통대란은 피했지만, 파업의 불씨는 아직 살아있는 데다 노사 갈등이 장기화할 경우 서울 대중교통 체계의 근간인 버스준공영제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특히 인건비 부담이 급증하는 가운데 노선 조정이나 감차를 통한 효율적 운영 방안을 모색.
대중교통수단인 시내버스 파업으로 인해 창원 시민들은 출근길에, 등굣길에, 병원과 시장, 일터 앞에서 발을 동동 굴러야 했다.
준공영제라는 제도 아래에서조차 반복되는 파업에 창원시가 구조적 허점 파악에 나선다.
정부에 대해선 시내버스 필수공익 사업 지정을.
속보= 창원시가 최근 5년간 버스준공영제를 도입한 전국 지자체 중 노사 교섭 불발로 버스 운행을 중단한 기간이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1·5면) 지난 2021년부터 올해까지준공영제를 시행 중인 전국 10개 지자체별 파업 현황을 분석한 결과, 창원 시내.